본문 바로가기
일간경제

일간경제 / 2024-04-11 / 원화 가치 하락 / 원화와 엔화 / 미국 금리 인하 시기

by 지식스푼 2024. 4. 11.
반응형

2024년 4월 11일의 경제 소식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오늘을 포함한 이번주의 증권지수는 하기와 같았다.

코스피는 2700 선을 아직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지만, 코스닥은 이번주 내내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미국 지수는 등락을 반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Date KOSPI KODAQ S&P500
2024.04.01 2,747.86 (+1.23%) 912.45 (+0.77%) 5,243.77 -0.20%)
2024.04.02 2,753.16  (+0.19%) 891.59  (-2.29%) 5,205.81 -0.72%)
2024.04.03 2,706.97 -1.68%) 879.96  (-1.30%) 5,211.49 (+0.11%)
2024.04.04 2,742.00  (+1.29%) 882.90 (+0.33%) 5,147.21 (-1.23%)
2024.04.05
2,714.21 -1.01%) 872.29  (-1.20%) 5,204.34 (+1.11%)
2024.04.08 2,717.65  (+0.13%) 860.57  (-1.34%) 5,202.39 -0.04%)
2024.04.09 2,705.16 -0.46%) 859.33  (-0.14%) 5,209.91 (+0.14%)
2024.04.10 NA - 선거일 NA - 선거일 5,160.64 -0.95%)
2024.04.11 2,706.96 (+0.07%) 858.10  (-0.14%) NA (개장 전)

*가격은 종가기준, 등락률은 전일대비 

 

 

오늘 인상깊게 확인한 경제 헤드라인은 바로 미국의 금리인하 시기 관련한 원화와 채권, 엔화에 대한 변동성을 정리한 기사였다.

 

바로 미국 물가쇼크에 원화, 채권 가격이 일제히 하락했다는 소식이다. 그나마 국내 증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에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미국의 견고한 경기회복세와 더딘 물가둔화세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금리 장기화, 원·달러 환율 상승, 국제유가 상승세를 자극해 국내 경제에는 ‘3고(高)의 고통’으로 나타나고 있다. 원화 약세가 부각되고 있지만 수출 경합 국가인 일본 엔화가 더 크게 약세를 보이면서 수출 경쟁력에서 밀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1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1.8포인트(0.07%) 오른 2706.96에 거래를 마쳐 강보합권에서 마감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1조원대 순매수세를 보인 영향에 장초반 1%대 하락세가 대부분 회복됐다. 코스닥 지수는 1.23포인트(0.14%) 떨어진 858.10에 거래를 마쳤다. 4거래일 연속 하락세다.


원화 가치는 급락했다. 1달러당 원화는 1364.1원으로 전 거래일 종가(1354.9원)보다 9.2원 상승했다. 장중 환율은 1365원까지 올랐다. 종가와 장중 고가 기준 모두 2022년 11월 10일(종가 1377.5원, 고가 1378.5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표금리인 국고채 3년물 금리는 7.5bp(1bp=0.01%포인트) 오른 3.466%에, 10년물 금리는 8.2bp 오른 3.585%에 최종 호가됐다. 국고채 금리 상승은 채권 가격 하락을 의미한다.
국내 증시가 부진하고 원화, 채권 가격이 하락세를 보인 것은 미국 물가쇼크 여파에 따른 영향이다. 3월 미국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전년도 3월과 비교해 3.5%를 기록하여 시장 전망치(3.4%)를 상회했을 뿐 아니라 두 달 연속 상승세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지고 있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미국 선물시장에 반영된 연준의 금리 인하 확률은 6월 50%대에서 20% 밑으로 추락했고 9월 금리 인하 확률이 60%대로 부각되고 있다. 연내 금리 인하 횟수로 종전 3회에서 1~2회로 줄었다.
연준의 금리 인하 지연, 인하 횟수 축소 등에 고금리 장기화 우려가 부각되고 있다. 이는 달러 강세로 이어지며 환율 상승을 자극하는 분위기다. 이와 함께 중동 불안 등에 국제유가가 배럴당 90달러를 넘어 작년 10월 이후 6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금리·고환율·고유가 ‘3고’는 물가 상승 우려를 자극시키고 내수 경기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나마 미국 제조업 경기가 반등하고 중국 제조업도 서서히 회복 기미를 보이면서 반도체를 중심으로 국내 수출 회복세는 커지고 있다. 이달 들어 1~10일까지 수출이 전년동기비 21.6% 증가했고 특히 반도체 수출은 45.5% 급증했다. 이에 따라 수출 경기 회복세가 내수 둔화를 상쇄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그러나 한편에선 원화 약세 대비 엔화가 더 크게 약세를 보이면서 수출 경합 국가인 일본에 비해 우리나라 수출 경쟁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같은 품질의 물건을 더 적은 달러로 수입해올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날 엔화는 장중 달러화 대비 153엔대를 기록, 34년 만에 최저치를 또 다시 경신했다. 엔화가 원화보다 더 크게 하락하면서 원·엔 환율은 장중 890원 밑으로 빠지기도 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일본과 우리나라 수출 경합도는 추세적으로 낮아지고 있긴 하지만 석유제품, 자동차 부품, 무선통신기기 및 부품, 철강 및 기계 등의 업종은 비교적 경합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수출 주력품목인 반도체는 해외진출이 많아 엔화 약세에 따른 영향이 크지는 않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역사적으로 엔화가 30% 약세가 되면 1~2년 뒤 심각한 경제위기가 왔다. 심상치 않은 상황”이라며 “반도체를 제외한 자동차, 기계, 철강 모두 우리나라의 중요한 먹거리 산업인데 엔저가 되면 예외없이 한국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Reference]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712921

 

미 물가쇼크에 '약해진 원화·채권 가격'…3高 고통 커진다

미국 물가쇼크에 원화, 채권 가격이 일제히 하락했다. 그나마 국내 증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에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미국의 견고한 경기회복세와 더딘 물가둔화세는 연방준비

n.news.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