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 22일의 경제 소식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의 증권지수를 살펴보면 코스피는 2599.51, 코스닥은 854.62로 아주 소폭 하락한 반면 S&P500은 4746.75로 전일 대비 1퍼센트 정도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늘의 첫 번째 경제 헤드라인 소식은 홍콩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ETF 의 일종 ELS에 관한 내용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22일 최근 지수 급락으로 투자자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홍콩H지수 편입 주가연계증권(ELS) 기반 파생결합증권 판매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투자자 손실 발생 가능성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합동점검 회의는 금융위원회 이세훈 사무처장 주재로 열렸으며 금융위 은행 과장·소비자정책과장·자본시장과장·자산운용 과장 등이, 금감원 소비자보호부 원장보·은행검사1국장·금융투자검사 1국장·자본시장감독국장·분쟁조정3국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 H지수 기반 ELS 판매 현황을 점검한 결과 지난 11월 기준 총판매 잔액은 19조3000억원이다. 이중 은행권 판매 잔액이 15조9000억원(82.1%)으로 은행권 신탁(ELT) 또는 발행증권사 직접판매(ELS)를 통해 개인투자자 등에 판매된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가 되는 상품은 주로 H지수가 고점이던 2021년 초 이후 발행된 ELS로서, 최근 H지수 추이를 감안할 때 해당 발행물들의 만기가 도래하는 내년 초부터 투자자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으로 금융당국은 보고 있다.
H지수는 2021년 2월 17일 1만2229로 고점을 기록했지만 그해 12월 말 8236까지 떨어진 뒤, 지난해 말 6705 그리고 전날 기준 5620을 기록하며 5000대에서 횡보하고 있다.
ELS는 기초자산인 주가지수나 개별종목 가격 흐름과 연계돼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유가증권을 의미한다. 기초자산 가치가 당초 증권사가 설정한 기준 아래로 떨어지면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도 높은 상품으로 분류된다.
금융당국은 H지수가 급락한 지난해 4분기부터 투자자 손실 가능성 등에 대비해 H지수 기반 ELS 판매사들에 고객 대응체계 등을 마련할 것을 지도해 왔다. 금감원은 올해 11월 말부터 5개 은행과 7개 증권사 등 12개 주요 판매사에 대한 현장 및 서면 조사를 실시해 ELS 판매 의사결정 프로세스, 인센티브 정책, 영업점 판매 프로세스 등을 중점 점검 중이다.
또 당국은 H지수 기반 ELS 투자자 손실 현실화 시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 민원 및 분쟁조정, 판매 금융회사에 대한 검사 및 조치 등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금감원에 'H지수 ELS 대응 TF'를 설치·운영할 계획이다. 은행 담당 부원장보가 기획단장을, 은행금 투 검사국, 자본시장감독국, 분쟁조정국 등이 TF로 참여한다.
이세훈 사무처장은 "H지수 기반 ELS 관련 불필요한 불안심리가 금융시장에 확산하지 않도록 시장과 소통하며 필요한 정보가 충분히 안내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며 "향후 대응 과정에서 투자자 자기책임 원칙이 훼손되지 않도록 유념해 달라"고 당부했다.
두 번째 소식은 부동산 관련 소식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서울의 집 값은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15년 넘게 모아야 가능한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인 2021년 조사 때보다 1년 더 늘어난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22일 전국 표본 5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한 개별 면접 조사를 바탕으로 한 ‘2022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소득을 쓰지 않고 꼬박 모아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는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수도권의 경우 9.3배로 나타났다. 월급을 모두 집값 마련을 위해 모았을 때 내 집 장만에 9년 가량 걸린다는 의미다. 이는 데이터 중간값인 중위수 기준이다.
수도권의 PIR은 2021년 조사 때 10.1배 보다는 다소 줄었다. 집값 마련에 걸리는 시간이 1년 가량 줄었다는 의미다. 지난해 집값이 크게 떨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국 평균 PIR은 2021년 6.7배에서 지난해 6.3배로 감소했다.
그러나 서울의 경우 PIR이 2021년 14.1배에서 지난해 15.2배로 더 높아졌다. 내 집 마련에 돈 다 모아도 걸리는 시간이 14년에서 15년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인천은 7.1배에서 7.7배로 더 높아졌다. 지난해 집값 하락이 하반기 이후 본격화하면서 매년 6월 기준으로 조사한 주택가격에 하락분이 다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PIR이 서울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세종(9.3배)과 경기(8.9배)였다.
지난해 임차 가구의 월 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중(RIR·Rent Income Ratio)은 전국 기준 16.0%(중위수 기준)로 전년(15.7%)보다 소폭 커졌다. 월 소득의 16%를 임대료로 쓴다는 뜻이다.
수도권 RIR 역시 17.8%에서 18.3%로 커졌다. 수도권의 RIR 증가는 2019년(20.0%) 이후 3년 만이다. 인천은 15.9%에서 19.0%로 뛰었고, 경기는 15.6%에서 16.1%로 증가했다.
반면 서울은 RIR이 2020년 21.3%에서 2021년 21.6%로 커졌다가 작년에는 20.9%로 줄었다.
지난해 주택자가 보유율은 61.3%로 2021년(60.6%)보다 0.7%포인트 높아졌다. 2006년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이후 역대 최고치다.
수도권 자가 보유율이 54.7%에서 55.8%로 2008년(56.6%)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광역시 등은 62.0%에서 62.8%로, 도 지역은 69.0%에서 69.1%로 올랐다.
자가 보유 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자가 점유율은 57.5%로 전년보다 0.2%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 점유 형태는 자가가 57.5%, 임차는 38.8%였다. 생애 첫 내 집 마련까지 걸리는 기간은 7.4년으로 전년(7.7년)보다 소폭 감소했다.
주거복지 수준이 높아지면서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는 줄어드는 추세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는 2014년 이후 5%대를 유지해 오다 2021년 4.5%, 지난해는 3.9%로 감소했다. 1인당 주거 면적은 34.8㎡로 전년(33.9㎡)보다 소폭 증가했다.
전체 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7.9년으로 전년(7.5년)보다 늘었다. 점유 형태별로 보면 자가 가구는 10.9년, 임차 가구는 3.4년을 거주했다. 현재 사는 집에 거주한 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는 전체의 33.7%였다.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는 주택 보유 의식도 강해졌다. 전체 가구 중 89.7%가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신혼부부 가구의 43.6%는 자가에 거주하고 있었다. 신혼가구 대부분은 아파트(73.3%)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가구는 75.0%가 자가 주택에 살고 있었으며 아파트 거주 비율은 44.7%였다.
[Reference]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23/0002323813?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661584?sid=101